라벨이 #설악산 조난기 1화인 게시물 표시

생존 소설 아카이브 3회 - 설악산 조난기 2화

이미지
설악산 조난기 2화 특전사 시절 배운 응급처치법에 따라 발목을 조심스럽게 움직여보았다 . 다행히 완전 골절은 아닌 것 같았지만 , 복숭아뼈에 금이 갔거나 심한 염좌인 것은 확실했다 . 발목을 디딜 때마다 찌릿한 통증이 올라왔다 . “ 일단 응급처치부터 ...” 창수는 배낭에서 응급처치 키트를 꺼냈다 . 탄력 붕대로 발목을 단단히 고정하고 , 진통소염제를 복용했다 . 그러고는 차가운 계곡물에 발목을 담가 부기를 가라앉히려는 동작을 취했다 . 잠시 소지품을 점검했다 . 다행히 배낭은 무사했다 . 차박용 텐트와 침낭 , 간단한 식량과 물 , 그리고 각종 생존 도구들이 그대로 들어있었다 . 하지만 발목 부상으로 인해 상황은 훨씬 심각해졌다 .   4. 첫 번째 밤의 준비   “ 일단 울산바위 등산로로 올라가 보자 .”   창수는 떨어진 지점으로 돌아가려고 위치를 살폈다 . 하지만 부상한 발목으로는 도저히 몇 걸음조차 걸을 수 없었다 . 천불동계곡의 가파른 경사와 미끄러운 바위 , 그리고 점점 어두워지는 하늘 , 무엇보다 부상한 발목이 그의 시도를 제한시켰다 . “ 어둠 속에서 젖은 화강암 암벽을 부상한 몸으로 오르는 건 자살행위야 .” 창수는 현실을 받아들였다 . 오늘 밤은 여기서 보내기로 작정했다 . 캠핑 밴이 있는 주차장까지는 거리가 멀었다 . 침착하게 주변을 둘러본 그는 천불동계곡 지류의 큰 바위 틈새를 발견했다 . 타프를 이용해 임시 쉘터를 구축했다 . 가이 라인을 트럭커스 히치 매듭으로 고정하고 , 바닥에는 그라운드시트를 깔아 습기를 차단했다 . 특전사 시절 배운 야전 생존술이 빛을 발하는 순간이었다 .   5. 첫 번째 밤의 불청객   밤 9 시경 , 창수는 좁은 피난처에서 간단한 저녁을 해결하고 있었다 . 에너지바 하나와 물 한 모금으로 요기를 마치려던 그때였다 .   “ 클클 ... 클 ! 쿵쿵쿵 ...”   멀지 않은 곳에서 들려오는 소리에 창수의 온몸에 긴장이 돌았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