라벨이 #설악산 조난기 2화인 게시물 표시

생존 소설 아카이브 3회 - 설악산 조난기 2화

이미지
설악산 조난기 2화 특전사 시절 배운 응급처치법에 따라 발목을 조심스럽게 움직여보았다 . 다행히 완전 골절은 아닌 것 같았지만 , 복숭아뼈에 금이 갔거나 심한 염좌인 것은 확실했다 . 발목을 디딜 때마다 찌릿한 통증이 올라왔다 . “ 일단 응급처치부터 ...” 창수는 배낭에서 응급처치 키트를 꺼냈다 . 탄력 붕대로 발목을 단단히 고정하고 , 진통소염제를 복용했다 . 그러고는 차가운 계곡물에 발목을 담가 부기를 가라앉히려는 동작을 취했다 . 잠시 소지품을 점검했다 . 다행히 배낭은 무사했다 . 차박용 텐트와 침낭 , 간단한 식량과 물 , 그리고 각종 생존 도구들이 그대로 들어있었다 . 하지만 발목 부상으로 인해 상황은 훨씬 심각해졌다 .   4. 첫 번째 밤의 준비   “ 일단 울산바위 등산로로 올라가 보자 .”   창수는 떨어진 지점으로 돌아가려고 위치를 살폈다 . 하지만 부상한 발목으로는 도저히 몇 걸음조차 걸을 수 없었다 . 천불동계곡의 가파른 경사와 미끄러운 바위 , 그리고 점점 어두워지는 하늘 , 무엇보다 부상한 발목이 그의 시도를 제한시켰다 . “ 어둠 속에서 젖은 화강암 암벽을 부상한 몸으로 오르는 건 자살행위야 .” 창수는 현실을 받아들였다 . 오늘 밤은 여기서 보내기로 작정했다 . 캠핑 밴이 있는 주차장까지는 거리가 멀었다 . 침착하게 주변을 둘러본 그는 천불동계곡 지류의 큰 바위 틈새를 발견했다 . 타프를 이용해 임시 쉘터를 구축했다 . 가이 라인을 트럭커스 히치 매듭으로 고정하고 , 바닥에는 그라운드시트를 깔아 습기를 차단했다 . 특전사 시절 배운 야전 생존술이 빛을 발하는 순간이었다 .   5. 첫 번째 밤의 불청객   밤 9 시경 , 창수는 좁은 피난처에서 간단한 저녁을 해결하고 있었다 . 에너지바 하나와 물 한 모금으로 요기를 마치려던 그때였다 .   “ 클클 ... 클 ! 쿵쿵쿵 ...”   멀지 않은 곳에서 들려오는 소리에 창수의 온몸에 긴장이 돌았...

생존소설 아카이브 2회 - 설악산 조난기 1화

이미지
    <캠핑 불멍>   1. 출발   6 월 중순의 어느 토요일 아침 , 창수는 설악산국립공원 속초 입구 주차장에 자신의 캠핑밴을 세워두고 2 박 3 일 차박 계획을 시작했다 . 도시의 번잡함에서 벗어나 혼자만의 시간을 갖고 싶었던 그는 첫날 소공원에서 출발해 비선대 - 천불동계곡 - 울산바위로 이어지는 왕복 12km 코스를 오르고 , 울산바위 인근에서 야영한 후 이튿날 계조암으로 하산하는 일정을 세웠다 .   “ 이번엔 제대로 된 산행을 해보자 .”   창수는 소공원 매표소에서 입산 신고를 마치고 오전 8 시에 출발했다 . 특전사 출신인 그에게는 산행이 단순한 취미가 아니라 자신의 한계를 시험하는 도전이었다 . 배낭에는 차박용 텐트 , 침낭 , 충분한 식량과 물 , 그리고 각종 서바이벌 장비들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었다 . 비선대까지는 평탄한 계곡 길이 이어졌다 . 수정같이 맑은 천불동계곡의 물소리를 들으며 걷는 길은 상쾌했다 . 비선대 폭포에서 잠시 휴식을 취한 후 , 본격적인 암벽 구간인 울산바위 코스로 접어들었다 . "날씨가 갑자기..."  오후 1 시경 , 하늘이 점차 잿빛으로 변하기 시작했다 . 6 월 장마철의 전형적인 날씨였다 . 부슬부슬 내리기 시작한 비가 점차 굵어지면서 설악산의 화강암 바위들을 촉촉하게 적셨다 . 창수는 우비를 단단히 여미며 신중하게 발걸음을 옮겼다 . 울산바위 정상까지 약 800m 고도를 올라야 하는 급경사 구간 . 천불동계곡에서 올라오는 가파른 암벽 코스였다 . 평소라면 어렵지 않게 지날 수 있는 경사 70 도의 바위 구간이었지만 , 비로 인해 상황은 완전히 달라졌다 . "앗...!!"   오후 2 시경 , 울산바위 정상을 200m 앞둔 지점에서 사고가 발생했다 . 천불동계곡 상류부에서 흘러내린 빗물이 만든 임시 물길을 건너던 중이었다 . 이끼에 덮인 화강암 바위가 빗물로 인해 얼음장보다 미끄러웠다 . 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