라벨이 #설악산좐기4화인 게시물 표시

생존 소설 아카이브 6회 - 설악산 조난기 제5화

이미지
 5화 구조 이튿날 아침 , 창수는 심각한 상황에 직면했다 . 밤새 내린 안개로 인해 가시거리가 10m 도 되지 않았다 . 설악산 특유의 짙은 산안개가 천불동계곡 전체를 뒤덮고 있었다 . 더 심각한 것은 발목 상태였다 . 이틀째 되는 날 부기가 더욱 심해져서 발목이 퉁퉁 부어올라 있었다 .   “ 큰일났네 , 이 상태로는 ...”   창수는 발목을 재점검했다 . 복숭아뼈 주변이 검보라색으로 변해있고 , 만지기만 해도 극심한 통증이 느껴졌다 . 분명히 골절이거나 심각한 인대 손상이었다 . 더는 미룰 수 없었다 . 구조를 요청하기 결정했다 . 나침반과 지도만으로는 정확한 위치 파악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, 창수는 특전사에서 배운 데드 레코닝 기법을 동원했다 . 하지만 부상한 발로는 정상적인 이동조차 어려웠다 . 즉석 목발에 의존한 채로 걸음 수를 세어가며 거리를 측정하고 , 나침반 베어링을 정확히 유지하며 천불동계곡 본류를 따라 이동했다 .   매 50 보 걸음마다 멈춰서 쉬어야 했다 . 발목의 통증이 극심해서 의식을 잃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. 진통제를 추가로 먹었지만 , 한계가 있었다 . 오후 1 시경 , 체력이 바닥나고 발목 통증이 절정에 달했을 때 , 창수는 마지막 도박을 걸었다 . 천불동계곡 중류의 높은 화강암 바위에 기어올라가 시그널 미러로 햇빛을 반사시켜 SOS 신호를 보내는 것이었다 .   “ 끙 ...”   부상당한 발목으로 바위를 오르는 것은 고문에 가까웠지만 , 다른 선택이 없었다 . 조그만 거울 조각으로 만든 반짝임을 비선대 방향으로 보내며 간절히 기도했다 . 동시에 호루라기로 세 번 짧게 , 세 번 길게 , 다시 세 번 짧게 부는 국제 조난 신호를 반복했다 .   오후 2 시 30 분 , 기적이 일어났다 .   “ 여기요 ! 여기 사람이 있어요 !”   창수의 목소리가 천불동계곡에 메아리쳤다 . 멀리서 응답하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