라벨이 #캠핑생존프롤로그인 게시물 표시

생존 소설 아카이브 6회 - 설악산 조난기 제5화

이미지
 5화 구조 이튿날 아침 , 창수는 심각한 상황에 직면했다 . 밤새 내린 안개로 인해 가시거리가 10m 도 되지 않았다 . 설악산 특유의 짙은 산안개가 천불동계곡 전체를 뒤덮고 있었다 . 더 심각한 것은 발목 상태였다 . 이틀째 되는 날 부기가 더욱 심해져서 발목이 퉁퉁 부어올라 있었다 .   “ 큰일났네 , 이 상태로는 ...”   창수는 발목을 재점검했다 . 복숭아뼈 주변이 검보라색으로 변해있고 , 만지기만 해도 극심한 통증이 느껴졌다 . 분명히 골절이거나 심각한 인대 손상이었다 . 더는 미룰 수 없었다 . 구조를 요청하기 결정했다 . 나침반과 지도만으로는 정확한 위치 파악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, 창수는 특전사에서 배운 데드 레코닝 기법을 동원했다 . 하지만 부상한 발로는 정상적인 이동조차 어려웠다 . 즉석 목발에 의존한 채로 걸음 수를 세어가며 거리를 측정하고 , 나침반 베어링을 정확히 유지하며 천불동계곡 본류를 따라 이동했다 .   매 50 보 걸음마다 멈춰서 쉬어야 했다 . 발목의 통증이 극심해서 의식을 잃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. 진통제를 추가로 먹었지만 , 한계가 있었다 . 오후 1 시경 , 체력이 바닥나고 발목 통증이 절정에 달했을 때 , 창수는 마지막 도박을 걸었다 . 천불동계곡 중류의 높은 화강암 바위에 기어올라가 시그널 미러로 햇빛을 반사시켜 SOS 신호를 보내는 것이었다 .   “ 끙 ...”   부상당한 발목으로 바위를 오르는 것은 고문에 가까웠지만 , 다른 선택이 없었다 . 조그만 거울 조각으로 만든 반짝임을 비선대 방향으로 보내며 간절히 기도했다 . 동시에 호루라기로 세 번 짧게 , 세 번 길게 , 다시 세 번 짧게 부는 국제 조난 신호를 반복했다 .   오후 2 시 30 분 , 기적이 일어났다 .   “ 여기요 ! 여기 사람이 있어요 !”   창수의 목소리가 천불동계곡에 메아리쳤다 . 멀리서 응답하...

생존 소설 아카이브 5회 - 설악산 조난기 제4화

이미지
4화 멧돼지 츌현 오후 3 시가 되어서야 창수는 천불동계곡 본류와 지류가 만나는 합수점을 발견했다 . 설악산의 대표적인 화강암 절벽들이 병풍처럼 둘러싼 이곳에서 맑은 계곡물이 힘차게 흘러내리고 있었다 . 여기서 그는 두 번째 밤을 보내기로 결정했다 . 천불동계곡 옆 거대한 화강암 바위 아래 움푹 들어간 공간에 차박용 텐트를 설치했다 . 특전사 시절 배운 대로 배수로를 파고 , 설악산의 강풍에 대비해 고정 로프를 여러 곳에 설치했다 . “ 이 정도면 견고할 거야 ...”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불이었다 . 젖은 환경에서 불을 피우는 건 쉽지 않았지만 , 창수는 특전사 훈련에서 배운 기술을 활용했다 . 설악산에 흔한 소나무 껍질과 송진 , 그리고 방수 성냥을 이용해 작은 불씨를 만들었다 . 불이 타오르자 비로소 안도감이 들었다 . 불은 체온 유지뿐만 아니라 설악산의 야생동물들을 쫓아내는 데 딱 좋았다 . 두 번째 밤이 깊어갈 무렵 , 예상치 못한 위기가 창수를 덮쳤다 . 갑작스럽게 불어닥친 강풍이 그의 쉘터를 위협하기 시작했다 . 바람은 점점 거세져 텐트 플라이시트가 찢어질 듯 팽팽하게 당겨졌다 . “ 이런 , 날씨가 급변하고 있어 ... 돌풍이야 ...” 창수는 서둘러 가이라인을 재점검했다 . 버터플라이 매듭과 트럭커스 히치로 고정한 로프들이 강풍에 맞서 버티고 있었지만 , 한계가 있었다 . 특전 기법의 필드크래프트 기술이 진정한 시험대에 오른 것이었다 . 더 큰 문제는 체온 저하였다 . 강풍으로 인해 윈드칠 효과가 극대화되면서 창수의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기 시작했다 . 손가락 끝이 저려 오고 턱이 덜덜 떨렸다 . 하이포써미아의 초기 증상이었다 . “ 집중해야 해 . 패닉은 금물이다 .” 창수는 즉시 서바이벌 프로토콜을 가동했다 . 먼저 레이어링 시스템을 재점검했다 . 베이스레이어 위에 인슐레이션 레이어를 추가하고 , 아웃터 쉘로 방풍을 강화했다 . 그리고 비박용 비비색을 꺼내 추가적인 보온층을 만들었다 . 하지만 진짜 위기는 지금부터였다 . 새벽 3 시 , 창수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