라벨이 #표류소설인 게시물 표시

생존 소설 아카이브 27회 - 나는 혼자가 되었다 - 제9화: 생존의 기술(2)

이미지
  남방주는 눈을 가늘게 뜨고 바다를 주시했다 . 그때였다 . 물개들이 흩어진 자리에서 거대한 등지느러미가 수면 위로 솟아올랐다 . 삼각형 모양의 날카로운 지느러미였다 .   “ 앗 ! 상어 ...”   남방주의 입에서 저절로 단어가 흘러나왔다 . 상어였다 . 그것도 꽤 큰 상어였다 . 등지느러미만 봐도 최소 3m 는 넘어 보였다 . 남방주는 등골이 서늘해졌다 .   ‘ 바다에 들어가면 안 되겠다 ...’   지금까지는 해안가에서 조개나 굴을 캐는 정도였지만 , 앞으로는 더 조심해야 할 것 같았다 . 특히 , 낚시할 때도 물가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면 위험할 수 있었다 . 상어는 한동안 그 근처를 맴돌다가 깊은 바다 쪽으로 사라졌다 . 하지만 그 충격은 남방주에게 오래도록 남았다 . 이 섬이 단순한 무인도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. 여기는 야생의 생태계가 살아 숨 쉬는 곳이었다 .   갈매기 , 물개 , 상어 ... 그리고 아마 더 많은 생물이 바다와 섬을 터전으로 살아가고 있을 것이었다 .   “ 나도 ... 생태계의 일부가 되어야 하는 건가 ...?”   그 생각이 무섭기도 했지만 , 동시에 약간의 위안이 되기도 했다 . 혼자가 아니라는 느낌이었다 . 비록 사람은 아니지만 , 이 섬에는 수많은 생명이 함께 살아가고 있었다 . 얼마 후 갈매기들이 다시 날아왔다 . 어제 만났던 그 갈매기도 보였다 . 남방주는 손을 흔들어 인사했다 .   “ 안녕 ... 오늘도 만났네 .”   갈매기는 고개를 기울이며 그를 바라봤다 . 마치 대답하는 것 같았다 . 다른 갈매기들도 호기심 어린 눈으로 남방주를 관찰했다 . 그들에게 인간은 신기한 존재인 듯했다 .   “ 끼야악 ... 끼야악 ...”   갈매기들의 울음소리가 섬 전체에 울려 퍼졌다 . 그 소리는 더는 무섭지 않았다 . 오히려 반가웠다...

생존 소설 아카이브 24회 - 나는 혼자가 되었다. 8화 첫 번째 밤(1)

이미지
  새벽 공기는 차가운 물처럼 폐 속을 스쳐 갔다 . 남방주는 잠든 사이 꺼져버린 모닥불 앞에서 눈을 떴다 . 재만 남은 화롯가에 손을 대어보니 미지근한 온기만이 마지막 생명의 흔적을 전해줄 뿐이었다 . 밤사이 내린 이슬이 얼굴과 옷을 촉촉하게 적셨고 , 몸 전체가 바위처럼 굳어있었다 .   “ 후 ...”   입에서 나온 한숨이 하얀 김으로 피어올랐다 . 체온이 많이 떨어진 모양이었다 . 남방주는 몸을 일으키려다 어지러움을 느꼈다 . 눈을 뜨다시피 밤잠을 설친 탓이었다 . 불이 꺼질까 봐 , 야생동물이 나타날까 봐 , 무엇보다도 갑작스러운 사실을 받아들이기 어려워서 잠을 잘 수가 없었다 . 어제 해안가에서 수거한 낡은 옷을 몸에 감았다 . 어딘가에서 떠내려온 거적대기 옷이었다 . 그때였다 .   “ 저건 ...” 동굴 입구로 스며드는 새벽빛은 희미했지만 분명했다 . 어둠을 뚫고 들어오는 그 빛은 마치 세상이 살아있다는 걸 증명하는 듯 익숙한 여명을 드러냈다 . 남방주는 떨리는 손으로 재를 헤쳐 불씨를 찾았다 . 다행히 깊숙한 곳에 콩알만 한 불씨가 숨어있었다 .   “ 다행이야 ... 아직 살아있어 ...”   마른 풀과 송진을 조심스럽게 올린 그가 숨을 불어넣자 , 불씨가 다시 생명을 얻었다 . 작은 불꽃이 피어오르자 가슴 한구석이 따뜻해졌다 . 불이 있는 한 자신도 살아있다는 증거였다 .   “ 끼야악 ... 끼야악 ... 끼륵 ...”   저멀리에서 갈매기들의 울음소리가 들려왔다 . 그들은 벌써 활동을 시작한 모양이었다 . 어제 만났던 그 갈매기도 있을까 . 남방주는 문득 그 새가 보고 싶어졌다 . 외로운 무인도 섬에서 유일하게 대화를 나눈 존재였다 . 동굴에서 나오자 새벽 공기가 가슴속에 깊숙이 스며들었다 . 어제와는 다른 느낌이었다 . 첫날의 당황과 공포 대신 , 이제는 이곳의 공기가 조금 익숙해진 것 같았다 .   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