라벨이 #SurvivalFiction인 게시물 표시

생존 소설 아카이브 27회 - 나는 혼자가 되었다 - 제9화: 생존의 기술(2)

이미지
  남방주는 눈을 가늘게 뜨고 바다를 주시했다 . 그때였다 . 물개들이 흩어진 자리에서 거대한 등지느러미가 수면 위로 솟아올랐다 . 삼각형 모양의 날카로운 지느러미였다 .   “ 앗 ! 상어 ...”   남방주의 입에서 저절로 단어가 흘러나왔다 . 상어였다 . 그것도 꽤 큰 상어였다 . 등지느러미만 봐도 최소 3m 는 넘어 보였다 . 남방주는 등골이 서늘해졌다 .   ‘ 바다에 들어가면 안 되겠다 ...’   지금까지는 해안가에서 조개나 굴을 캐는 정도였지만 , 앞으로는 더 조심해야 할 것 같았다 . 특히 , 낚시할 때도 물가에 너무 가까이 접근하면 위험할 수 있었다 . 상어는 한동안 그 근처를 맴돌다가 깊은 바다 쪽으로 사라졌다 . 하지만 그 충격은 남방주에게 오래도록 남았다 . 이 섬이 단순한 무인도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. 여기는 야생의 생태계가 살아 숨 쉬는 곳이었다 .   갈매기 , 물개 , 상어 ... 그리고 아마 더 많은 생물이 바다와 섬을 터전으로 살아가고 있을 것이었다 .   “ 나도 ... 생태계의 일부가 되어야 하는 건가 ...?”   그 생각이 무섭기도 했지만 , 동시에 약간의 위안이 되기도 했다 . 혼자가 아니라는 느낌이었다 . 비록 사람은 아니지만 , 이 섬에는 수많은 생명이 함께 살아가고 있었다 . 얼마 후 갈매기들이 다시 날아왔다 . 어제 만났던 그 갈매기도 보였다 . 남방주는 손을 흔들어 인사했다 .   “ 안녕 ... 오늘도 만났네 .”   갈매기는 고개를 기울이며 그를 바라봤다 . 마치 대답하는 것 같았다 . 다른 갈매기들도 호기심 어린 눈으로 남방주를 관찰했다 . 그들에게 인간은 신기한 존재인 듯했다 .   “ 끼야악 ... 끼야악 ...”   갈매기들의 울음소리가 섬 전체에 울려 퍼졌다 . 그 소리는 더는 무섭지 않았다 . 오히려 반가웠다...

생존 소설 아카이브 25회 - 나는 혼자가 되었다 8화 첫 번째 밤(2)

이미지
먼저 작은 게들을 구워보았다 . 껍데기가 빨갛게 변하며 고소한 냄새가 콧속으로 퍼졌다 . 처음 맛보는 야생 구이였다 . 맛은 ... 생각보다 나쁘지 않았다 . 바다의 짭조름한 맛이 입안 가득히 담겨졌다 .   “ 이 정도면 ... 먹을 만해 ...”   굴도 구워 먹어보니 생굴보다 훨씬 고소했다 . 홍합은 입이 벌어지며 하얀 속살을 드러냈다 . 간단한 식사였지만 어제보다는 훨씬 만족스러웠다 . 배를 채우고 나니 몸에 힘이 생겼다 . 이제 두 번째 임무인 거처 마련에 착수할 시간이었다 . 동굴은 임시 피난처로는 괜찮았지만 , 장기간 생활하기에는 부족했다 . 비가 올 때나 강한 바람이 불 때를 대비해 좀 더 견고한 쉘터가 필요했다 .   “ 높은 곳으로 가자 ...!”   섬을 돌아다니며 적당한 장소를 찾았다 . 바람을 막을 수 있으면서도 물을 구하기 쉬운 곳 , 그리고 구조 신호를 보내기에도 유리한 위치 ... 여러 조건을 고려한 끝에 해안가 언덕 중턱의 작은 평지를 선택했다 .   “ 여기가 좋은가 ...?!”   나무들이 바람막이 역할을 해주면서도 바다가 잘 보이는 곳이었다 . 샘까지의 거리도 적당했다 .   “ 그래 , 여기로 정하자 ...”   이제부터 은신처를 만들 재료를 모아야 했다 . 쉘터 건설에 필요한 나무 , 풀 , 넝쿨 ... 이 모든 것들을 이 섬에서 구해야 하는 것이었다 . 오후 내내 쉘터 작업에 매달렸다 . 떨어진 나뭇가지들을 모아 기본 골조를 만들고 , 큰 나뭇잎들과 풀을 엮어서 벽을 만들었다 . 도시에서 살 때는 상상조차 못 했던 일이었다 . 하지만 생존이 걸린 문제였다 .   “ 도구가 없으니 , 잘 안되네 ...”   손이 거칠어지고 가시에 찔려 피가 났지만 , 멈출 수 없었다 . 해가 지기 전에 최소한의 형태는 갖춰야 했다 .   “ 이렇게 ... 이렇게 하...